KEC규정 적용된 전선과 용어 정리

기존 내선규정에서 KEC규정이 도입되면서 새롭게 추가된 것과 바뀐것들이 있습니다. 그 중 가장 크게 눈에 띄는것은 아무래도 전선의 상별 색깔이 아닐까 싶습니다. 이번에는 실제 KEC규정이 적용된 분전함 내부는 어떤지, 개정되면서 바뀐 용어들에 대한 정의를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2023년 전기기사 개정 용어 (한국전기설비규정)

KEC규정 적용된 전선과 용어

1.KEC규정 적용된 전선색상

21년 1월이후로 시행된 KEC규정에 의거하여 상별 전선의 색상이 새롭게 바뀌었는데요. 어떤 색으로 바뀌었는지 현장의 분전함 사진을 참고하여 확인해보겠습니다.

KEC규정 적용된 분전함 내부에서의 부스바 색깔
KEC규정 적용된 분전함 내부

위의 사진은 22년 1월에 시공된 분전함 내부입니다.
가장 크게 눈에 띄는것이 부스바 색상이죠. 기존 R, S, T상으로 불렸던 것이 이제는 L1, L2, L3상으로 명칭도 바뀌게 되었습니다.

KEC규정이 적용된 전선색상관련 KEC전문中
KEC규정이 적용된 전선색상관련 KEC전문中

L1상은 갈색, L2상은 흑색, L3상은 회색, N선은 청색으로 말이죠.

☞단선과 연선, HIV전선과 KIV전선에 대하여 알아보기

☞누전차단기와 동작원리, 배선용차단기 알아보기

<기존 내선규정에 의거한 전선 색상>

기존 내선규정에 의거한 전선 색상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내선규정에 의거한 배전반 내부의 전선색상
내선규정에 의거한 배전반 내부의 전선색상

R상은 흑색, S상은 적색, T상은 청색, N선은 흰색 or 회색 이죠.
현재도 대부분의 공장과 같은 현장에서 이러한 내선규정에 의거한 전선들을 볼 수있는데 이는 21년 1월 이전 시공된 것임을 알 수있습니다. 21년 1월 부터 새롭게 KEC규정이 도입됬지만 그 이전 내선규정에 의해 시공했던 것들은 그대로 놔두는 것이죠. 따라서 21년 1월 이전에 내선규정으로 시공된 부분은 굳이 KEC규정을 적용하지 아니하도 된다고 법적으로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예전 서양규정에 의거한 색상>

기존 내선규정에 의거한 전선이 있는가 하면 서양규정에 의거한 전선또한 볼 수가 있는데요. 바로 아래와 같은 분전함입니다.

내선규정과 서양규정이 혼합된 분전함 내부모습
내선규정과 서양규정이 혼합된 분전함 내부모습

부스바 색상을 주목하면 되겠는데요.
지금의 L1상이 빨강, L2상이 노랑, L3상이 파랑, 그리고 N선은 흰색이었었죠
위와 같은 분전함에서는 메인차단기 1차측에서의 전선 튜브색상이 흑색,적색,청색인것을 보면 예전 내선규정인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이렇게 혼합해서 사용한 현장도 있는것을 보면 그 당시에는 크게 별일없이 통과가 됬었나봅니다.

☞배전반과 분전함에 대하여 알아보기

2.KEC규정 적용된 용어 정리

그렇다면 이번에는 KEC규정으로 개정되면서 기존의 내선규정에서 사용하던 용어와 더불어 새로 개정된 용어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피뢰 시스템관련>

1)피뢰시스템(LPS, Ligthning Protection System)
‘구조물에 뇌격으로 인한 물리적 손상을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전체시스템’을 말하며, 외부피뢰시스템과 내부피뢰시스템으로 구성이 된다.

2)외부피뢰시스템(External Lightning Protection System)
‘수뢰부시스템, 인하도선 시스템, 접지극시스템으로 구성된 피뢰시스템의 일종’을 말한다

3)내부피뢰시스템(Internal Lightning Protection System)
등전위본딩 또는 외부피뢰시스템의 전기적 절연으로 구성’된 피뢰시스템의 일부를 말한다.

☞절연이란, 절연저항의 의미와 측정방법 알아보기

4)수뢰부시스템(Air-termination System)
낙뢰를 포착할 목적으로 ‘돌침, 수평도체, 메시도체등과 같은 금속 물체를 이용한 외부피뢰시스템의 일부’를 말한다.

5)인하도선시스템(Down-conductor System)
뇌전류를 수뢰부시스템에서 접지극으로 흘리기 위한 외부피뢰시스템의 일부를 말한다.

6)피뢰등전위본딩(Litghning Equipotential Bonding)
뇌전류에 의한 전위차를 줄이기 위해 직접적인 도전접속 또는 서지보호장치를 통하여 ‘분리된 금속부를 피뢰시스템에 본딩’하는 것을 말한다.

<수차 관련>

1)수차
물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를 기계적 일로 변환하는 회전기계를 말하며 수차 본체와 부속장치로 구성된다.

2)수차의 유효낙차
사용상태에서 수차의 운전에 이용되는 전수두로서, 수차의 고압측 지정점과 저압측 지정점과의 전수두를 말한다.

3)펌프수차
수차 및 펌프 양쪽에 가역적으로 사용하는 회전기계를 말한다.

4)조속기
수차의 회전속도 및 출력을 조정하기 위하여 자동적으로 수구 개도를 가감하는 장치를 말한다.

5)무구속속도
어떤 유효낙차, 어떤 수구개도 및 어떤 흡출높이에서 수차가 무부하로 회전하는 속도를 말하며, 이들 중 일어날 수 있는 최대의 것을 최대 무구속 속도라고 한다.

<접지 및 본딩 관련>

1)계통접지(System Earthing)
전력계통에서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이상현상에 대비하여 대지와 계통을 연결하는것으로, 중성점을 대지에 접속하는것을 말한다.

☞KEC 규정 – 계통접지에 대하여 알아보기 (TN, TT, IT 접지)

2)등전위본딩(Equipotential Bonding)
등전위를 형성하기 위해 도전부 상호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것을 말한다.

3)보호도체(PE, Protective Earth)
감전에 대한 보호등 안전을 위해 제공되는 도체를 말한다

4)접지도체
계통, 설비 또는 기기의 한 점과 접지극 사이의 도전성 경로 또는 그 경로의 일부가 되는 도체를 말한다.

5)접지시스템
기기나 계통을 개별적 또는 공통으로 접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접속 및 장치로 구성된 설비를 말한다.

6)PEN도체(Protective Earthing conductor and Neutral conductor)
교류회로에서 중성선 겸용 보호도체를 말한다.

7)PEM도체(Protective Earthing conductor and a Mid-point conductor)
직류회로에서 중간선 겸용 보호도체를 말한다.

8)PEL도체(Protective Earthing conductor and a Line conductor)
직류회로에서 선도체 겸용 보호도체를 말한다.

<그 밖의 용어>

1)특별저압(ELV, Extra Low Voltage)
인체에 위험을 초래하지 않을 정도의 저압을 말하며, SELV(Safety Extra Low Voltage)는 비접지회로, PELV(Protective Extra Low Voltage)는 접지회로에 해당합니다.

2)서지보호장치(SPD, Surge Protective Device)
과도 과전압을 제한하고 서지전류를 분류하기 위한 정치를 말한다.

3)리플프리(Ripple-free)직류
교류를 직류로 변환할 때 리플성분의 실효값이 10%이하로 포함된 직류를 말한다.

4)스트레스전압(Stress Voltage)
지락고장 중에 접지부분 또는 기기나 장치의 외함과 기기나 장치의 다른부분사이에 나타나는 전압을 말한다.

☞KEC 규정, 전로의 절연저항과 절연내력 알아보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