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C 규정에 대한 내용중, 계통접지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합니다. TT, TN, IT 각각의 문자열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더불어 각 계통의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KEC규정, 특별저압 (SELV, PELV, FELV) 알아보기
목차
KEC 규정 – 계통접지란, TT계통, TN계통, IT계통
1.계통접지란
계통접지(System Earthing)란 전력계통에서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이상현상에 대비하여 대지와 계통을 연결하는 것으로, 중성점을 대지에 접속하는것을 말합니다.
2.계통접지에 사용되는 문자의미
TN, TT, IT계통 각각의 문자에 대한 의미가 있다는것을 알고계셨나요? 각 문자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①제 1문자 : 전원계통과 대지의 관계
T : 한점을 대지에 직접 접속
I : 모든 충전부를 대지와 절연시키거나 높은 임피던스를 통하여 한 점을 대지에 직접 접속
②제 2문자 : 전기설비의 노출도전부와 대지의 관계
T : 노출도전부를 대지로 직접 접속, 전원계통의 접지와는 무관
N : 노출도전부를 전원계통의 접지점(교류 계통에서는 통상적으로 중성점, 중성점이 없을 경우는 선도체)에 직접 접속
③그 다음 문자 (문자가 있을경우) : 중성선과 보호도체의 배치
S : 중성선 또는 접지된 선도체 외에 별도의 도체에 의해 제공되는 보호 기능
C : 중성선과 보호 기능을 한 개의 도체로 겸용 (PEN 도체)
예를들어, 위에서 예시 사진으로 첨부한 TN-S 계통을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한 점을 대지에 직접 접속하고 노출전도전부를 전원계통의 접지점에 직접 접속하여 중성선과 보호기능을 한 개의 도체로 겸용한 계통인 셈이지요.
<계통접지 기호설명>
위의 기호를 참고하여 도면을 보고 어떤 계통인지 알 수 있겠지요
3.TN계통
TN계통은 전원측의 한 점을 직접접지하고 설비의 노출도전부를 보호도체로 접속시키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중성선 및 보호도체(PE 도체)의 배치 및 접속방식에 따라 아래와 같이 분류합니다.
TN계통의 특징 : 과전류차단기로 간접접촉보호가 가능하여 누전차단기가 필요없으며, 전위상승이 적어 저압간선에 사용됩니다.
①TN-S계통
TN-S 계통의 특징 : 불평형전류가 N선에만 흐름. 전산센터나 병원등 접지방식에 사용시 유리 (약전 및 통신기기 사용에 유리)
위의 3가지 TN-S계통에 대한 도면을 보시면 알 수 있다시피 같은 TN-S 계통이라 할지라도 중성선과 보호도체를 사용하는 방식에 따라서 조금씩 달라지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②TN-C 계통
TN-C 계통의 특징 : 일반적으로 통신에 구애받지 않는 전력계통에 적합. 고조파 계통에서는 고조파로인한 노이즈문제 발생가능성이 있음
TN-C계통은 그 계통 전체에 대해 중성선과 보호도체의 기능을 동일도체로 겸용한 PEN도체를 사용하는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배전계통에서 PEN 도체를 추가로 접지할 수가 있습니다.
③TN-C-S 계통
TN-C-S 계통 특징 : 누전차단기 사용시 TN-C는 TN-S 뒤에 사용 불가
TN-C-S 계통은 계통의 일부분에서 PEN도체를 사용하거나, 중성선과 별도의 PE도체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4.TT계통
TT 계통 특징 : 단상 및 3상을 모두 사용시 N선과 별도로 접지를 합니다.
TT 계통은 전원의 한 점을 직접 접지하고 설비의 노출도전부는 전원의 접지전극과 전기적으로 독립적인 접지극에 접속하는 방식입니다.
5.IT계통
IT 계통 특징 : 충전부 전체를 대지로 절연하고 한점에 임피던스를 삽입하여 대지에 접속, 노출도전성 부분을 단독 또는 일괄 접지하는 방식입니다. 대형 플랜트에서 주로 사용하며 정전용량이 큰 154kV 또는 345kV 계통에서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