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V 전선과 KIV 전선 차이점, 단선과 연선의 특징

가정의 분전반(함) 일명 두꺼비집이나 공장과 같은 분전반(함)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전선들이 있습니다. 이번에는 그 중에서도 HIV 전선과 KIV 전선을 중점적으로 알아보려고 합니다. 각각의 전선의 특징은 무엇이며 쓰임새는 어떤지 확인해 봅시다.

☞배전반과 분전반(함)에 대하여 알아보기

HIV 전선과 KIV 전선 차이점, 단선과 연선의 특징

1.단선과 연선

HIV전선과 KIV전선을 설명하기에 앞서 단선과 연선에 대한 부분을 짚고 넘어가보려고 합니다.

1)단선

HIV 전선과 KIV 전선, 단선과 연선의 차이점. 단선 생김새
단선과 연선의 차이점. 단선 생김새

Single Conductor로, 한 가닥의 긴 금속(구리)선만 있는 전선을 말합니다.
굵은 한 가닥의 금속이기에 단순한 구조이며, 높은 강도를 가집니다.
반면, 유연성이 떨어지며 SQ(㎟)가 큰 단선 일수록 구부러짐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단선의 경우 주로 단순한 회로 및 낮은 전류와 전압을 다루는 데에 사용이 됩니다

2)연선

단선과 연선의 특징. 연선의 생김새
단선과 연선의 특징. 연선의 생김새

Multi Conductor로, 여러개의 단선이 절연피복안에 묶여 있는 형태의 전선을 말합니다.
가느다란 여러개의 단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구성이 단선에 비해 복잡하지만 유연성이 큰 것이 장점입니다.

연선의 경우 SQ(㎟) 굵기에 따라 저압부터 특고압까지 모든 전류 및 전압을 사용하는곳에 두루 쓰이는것이 특징이기도 합니다.

가정에서 사용하는 콘센트 선의 내부 모습
VCTF 전선의 내부 모습
VCTF 내부 모습. 접지선이 포함된 세 가닥의 연선
접지선이 포함된 세 가닥의 연선

위와 같이 흔히 쓰이는 VCTF 전선의 경우 내부에는 3가닥의 연선이 포함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녹황교차로 된 전선은 주로 접지선으로 사용하며 그 외의 2개의 선으로 HOT선과 중성선에 연결이 되어 전기를 흘리게 하죠. (단상 220V 기준)

☞접지와 본딩 알아보기

☞KEC 규정, 접지시스템 알아보기

☞시간대별 전기요금 (경부하 중간부하 최대부하) 알아보기

2.HIV전선

그렇다면 HIV 전선은 어떤 전선이며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요?

HIV전선 규격표. 기기 배선용 단심 비닐 절연전선 표
기기 배선용 단심 비닐 절연전선 표

HIV 전선은 기기 배선용 단심 비닐 절연 전선으로 명칭이 되어있으며 위와 같은 규격별 특성을 나타낸 표를 볼 수 있습니다.

HIV전선은 0.5㎟ ~ 2.5㎟ 의 굵기만 있는것을 알 수 있기도 합니다.
그 주된 이유는 굵은 구리선 한가닥만 있는 ‘단선’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HIV전선은 단선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 전선이며, 구부리거나 변형을 가할시 그 형태를 유지하는 특성이 있기도 합니다.

HIV 전선 허용전압 및 전선 규격
HIV 전선 허용전압 및 전선 규격
HIV 전선 굵기, 제조회사
HIV 전선 굵기, 제조회사
전선의 제조년월, 명칭, 허용온도 문구
전선의 제조년월, 명칭, 허용온도 문구

전선의 옆면을 쭈욱 보다보면 위와 같은 글씨들이 써져있는 것을 볼 수가 있는데요. 이러한 표시들을 확인하며 이 전선이 가지고 있는 허용전압 및 전선 규격, 굵기, 제조회사등 다양한 정보를 알 수 있기도 합니다.

위와 같은 정보들을 종합하여 허용전압은 300/500V 이며, 60227 KS IEC 07규격에 2.5SQ(㎟) 굵기에 COSMOLINK사에서 2018년 04월에 제조한 90℃까지 허용되는 HIV 전선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KEC 규정 적용된 전선색상및 용어정리

☞보호도체 단면적과 특징에 대하여 알아보기

3.KIV 전선

다음은 KIV전선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합니다.

전기기기용 비닐절연전선. KIV 전선 규격표
전기기기용 비닐절연전선.
KIV 전선 규격표
KIV 전선 규격표

HIV전선과 반대로 KIV전선은 가느다란 단선이 모인 ‘연선’의 형태입니다. 그렇기에 유연성이 보다 높으며 1.5SQ의 굵기부터 240SQ까지 다양한 굵기로 제작되는것이 특징입니다.

KIV 전선의 제조회사, 제조년월, 전선명등 정보
KIV 전선의 제조회사, 제조년월, 전선명등 정보

HIV 전선과 마찬가지로 KIV 전선 역시 옆면의 표시들을 확인하여 굵기, 제조회사, 제조년월, 명칭등에 대한 정보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 RoHS와 CE라는 것이 보이는데요.

RoHS는 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 Directive의 약자로써 전기전자 제품 유해물질 사용제한의 마크입니다. 여기서 제한되는 여섯가지 물질로는 납, 수은, 카드뮴, 6가 크롬, 프탈레이트, 브롬계 난연재들이 있다고 합니다.

CE 마크의 경우 EU기준의 안전기준에 부합하다는것을 의미합니다.

4.HIV전선과 KIV전선의 사용

HIV전선은 단선으로 구성되있기에 건물 내부의 전력 배선이나 전기 시설에 사용이 되는것이 특징입니다.

KIV전선은 연선으로 구성되어있기에 유연함의 장점으로 실내에서 다양한 콘센트 및 멀티탭 선, 릴선등 많은 곳에 사용이 되는것이 특징입니다.

☞KEC 규정, 계통접지 (TT, TN, IT)에 대하여 알아보기

☞절연이란, 절연저항 의미와 측정방법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