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압기 점검방법, 절연저항 측정과 절연유 내압시험

변압기 점검, 변압기 절연저항 측정방법

앞선 글에서 유입변압기와 몰드변압기 각각의 점검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변압기 점검중에 하나인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방법과 절연유 내압시험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보시겠습니다. ☞유입변압기 점검방법 ☞몰드변압기 특징과 점검방법 ☞MOF 절연저항 측정방법 변압기 점검방법, 절연저항 측정과 절연유 내압시험 1.변압기 절연저항 측정 우선, 변압기의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절연이란, 절연저항 측정방법과 메거 사용방법 <절연저항 측정을 위한 안전장구 착용> 1)고압절연장갑2)안전모3)활선경보기4)절연장화5)그 … 더 읽기

단선결선도 작성방법, 약호표기

주 배전반 단선결선도 작성 예시 [출처 : 한국전기기술인협회]

전기회로도를 설계하거나 전기를 담당하는 안전관리자라면 도면을 볼 일이 많을텐데요. 이번에는 전기도면 中, 단선결선도를 작성하는 방법과 약호표기는 어떻게 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전기안전관리자 직무고시란, 전기직무고시 하는방법 단선결선도 작성방법, 약호표기 1.단선결선도 작성 예시와 방법 위는 단선결선도가 작성된 예시로 3상4선식 380/220[V]의 전기가 공급되는 도면입니다. ☞배전반과 분전반(함) 알아보기 ☞알맞은 차단기용량과 전선굵기 선정하기 ▶단선결선도 작성방법 이러한 결선도를 작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더 읽기

전력용 콘덴서의 과보상 문제점과 대책방안

배전반 내부에서 볼 수 있는 전력용 콘덴서, 진상콘덴서

보통 콘덴서라고 하면 역률이 낮은 계통에서 역률을 높혀 무효전력 발생비율을 줄이는 용도로 사용하는 전기설비인데요. 만약, 적정한 수준을 넘어 과하게 보상을 해버리면 어떻게 될까요?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전기요금 절감관련 ☞진상과 지상이란, 역률 의미과 개선방법 전력용 콘덴서의 과보상 문제점과 대책방안 1.전력용 콘덴서 (진상 콘덴서) ☞진상콘덴서란, 직렬리액터와 방전코일 역할 콘덴서는 보통 직렬리액터와 방전코일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방전코일은 콘덴서용 차단기가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