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안전관리자 교육 – 안전관리교육과 특별교육

전기안전관리 특별교육에 대한 법적근거 자료

전기안전관리자로써 수변전실에 ‘첫’ 전기선임을 맡게 된다면 6개월 이내에 반드시 전기안전관리자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이번에는 전기안전관리자 교육과 관련하여 특별교육에 대한 법적 근거 및 벌칙에 추가로 어떤것을 교육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전기안전관리법에 대하여 알아보기 ☞멀티테스터기 (후크메타) 사용방법 알아보기 ☞메거 사용방법, 절연저항 측정 알아보기 전기안전관리자 교육 – 안전관리교육과 특별교육 알아보기 1.전기안전관리자 특별교육 법적근거 전기안전관리법 제25조 제1항1호 및 같은 법 시행규칙 … 더 읽기

전기배선 현장모습, 공장에서 전기는 어떻게 공급될까

전기배선의 현장모습 (공장 전기배선 모습)

학부시절에는 공장과 같은 곳에서의 전기배선은 어떤식으로 되어 있을지에 대한 호기심이 있었는데요. 직접 공장에서 근무를 해보면서 실제 현장에서는 전기선들이 어디서 어디로 거쳐가는지를 유심히 살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전기배선의 현장모습은 어떨지 확인해보겠습니다. 전기배선 현장모습, 공장에서 전기는 어떻게 공급될까 ▶현장에서의 전기선 우선, 전기는 한전의 가공전선 또는 지중패드를 거쳐 각 공장마다의 수변전실에서 공급이 시작됩니다. ☞배전반과 분전함, 수변전실 알아보기 이 곳같은 경우에는 … 더 읽기

UPS와 ESS 차이, 무정전전원장치와 에너지저장장치

UPS와 ESS 차이, UPS 구성 및 활용 예시 [출처 : 한국전기기술인협회]

전기안전관리자라면 UPS와 ESS에 대해서 많이 들어봤을 겁니다. 언뜻보면 비슷한것 같으면서도 각각의 목적과 작동원리 및 용도에서는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에는 UPS와 ESS 차이에 대해서 살펴보고 각각의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전기안전관리자 직무고시 – UPS점검 개정부분 ☞축전지 점검방법 알아보기 UPS와 ESS 차이, 무정전전원장치와 에너지저장장치 1.UPS와 ESS 차이 ☞무정전전원장치, UPS란 참고 구분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y) ESS(Energy Storage System) 목적 전력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