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단기 용어 이해하기 – AF와 AT란

현장에서 사용하는 차단기는 각각의 정격과 특성이 천차만별입니다. 부하마다 사용하는 전력소모량이 다르기 때문에 그에 맞는 차단기를 선별하여 시공하는 것이죠. 이번에는 차단기의 앞면에서 볼 수 있는 글씨들에 대해서 각각의 용어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저압 차단기 MCCB 점검방법과 유지보수

☞알맞은 차단기 용량과 전선굵기 선정하기

차단기 용어 이해하기

1.AF와 AT란

차단기를 선정한다면 가장 크게 비중을 두고 고려하는 부분이 바로 이 AFAT입니다. 이 AF와 AT는 비슷하면서도 다른데요. 제가 전기기사 자격증 공부를 하면서 제일 헷갈리던 부분이기도 하였습니다. AF는 ‘정격 프레임 전류’를 의미하고, AT는 ‘정격 트립전류’라는 의미를 가지는데요. 먼저 AF의 정격프레임 전류가 의미하는 것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차단기의 용어이해하기, 차단기의 AF와 AT의 의미 이해하기
차단기 용어, 차단기에서 볼 수 있는 AF와 AT

☞KEC 규정 적용된 전선과 용어 알아보기

1)AF(정격 프레임 전류)

차단기는 30, 50, 60, 100, 225, 400, 600, 800, 1000, 1200 이렇게 정격 프레임의 ‘크기’로 생산이 됩니다. 쉽게 표현하면 차단기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위의 사진에서 볼 수 있는 차단기의 경우 400AF의 프레임크기를 가진 차단기이죠.
예를 들어, 100AF/75AT의 차단기와 100AF/100AT의 차단기가 있다면 같은 100AF의 정격프레임으로써 크기가 동일한 차단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정격프레임이 같다는것은 단순히 크기가 같다는것을 넘어서게 됩니다. 프레임의 크기가 통일된 차단기를 사용한다면 분전반을 제작함에 있어서 매우 편리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같은 50AT의 차단기라도 AF인 정격프레임의 크기가 달라서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AF는 AT보다 절대 작을 수가 없는것도 참고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이는 정격전류 이상의 전류가 차단기에 흘러들어올 경우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정격프레임이 정격트립전류보다 낮다면 내부 발열로 인해 프레임(외함)에 대미지를 입히게 되고 폭발까지 일으킬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차단기에 있어서 AF의 경우는 왠만하면 값이 클수록 좋습니다. 다만, 그만큼 비용이 커지기 때문에 가성비는 조금 낮아질수도 있습니다.

2)AT(정격 트립전류)

음으로는 AT인 정격트립전류입니다. 이 AT의 의미는 차단기에 과전류가 흘렀을때 동작하는 전류치의 기준값을 말합니다.
주로 15, 20, 30, 40, 50, 60, 75, 80, 100, 125, 150, 175, 200, 250.. 과같은 정격용량의 차단기들이 있으며 현장에 따라서 더 낮은 혹은 더 큰 용량의 차단기 또한 볼 수 있습니다.
위의 사진의 경우 300AT의 정격트립전류인 차단기이죠.

AT의 경우 AF와는 다르게 부하에 딱 맞는 적정용량의 값으로 선정을 해야합니다. 만약 부하의 정격이 약 10A인 반면 차단기의 AT를 50AT 이상으로 설치 하였을 경우 부하의 정격이상인 과전류가 흘렀을 경우 제대로 차단동작을 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AT인 정격트립전류는 부하의 적정용량에 맞게 선정을 하면 됩니다.

2.그 밖의 용어들

차단기 용어 이해하기, 차단기 용어중 그밖의 용어들(정격 사용전압, 극한 단락차단용량등)
차단기 용어, 그 밖의 차단기 용어들

차단기에서 중요한 AF와 AT다음으로 볼 수있는 그 밖의 용어들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P (극수)

2극인지, 3극인지 역시 중요한 부분이라고 볼 수있는 것이 P인 극수입니다.
위 차단기의 경우 3P로써 3극인 3상3선식 차단기라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

2) Ue(정격 사용전압)

격 사용전압을 의미하는 Ue는 차단기에 명시되어있는 전압들에 대해서 사용이 가능한것을 의미합니다.
위 차단기의 경우 690V, 480/500V, 415/460V, 380V, 220/250V, 500V의 각각 정격에 대해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3) Icu(극한 단락 차단용량)

극한 단락 차단용량을 의미하는 Icu는 단락상황이 발생했을때 차단기에서 차단이 가능한 용량을 의미하는데요.
위 차단기의 경우 사용전압 (Ue)가 380V인 경우, 65kA까지의 단락전류를 차단 할 수있습니다. 이를 초과하게 된다면 차단기에 대미지를 입혀 제대로된 차단 동작이 불가능해질 확률이 올라갈 뿐더러 차단기가 폭발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게 됩니다.

4) Ui(정격 절연전압)

정격 절연전압을 의미하는 Ui는 정상적인 환경에서 몇 V까지의 절연내력을 견딜 수 있는지 의미합니다. 위 차단기의 경우 Ui는 750V 이므로 정상적인 환경에서 750V 까지의 절연내력을 견딜 수 있습니다.

☞절연이란, 절연저항의 의미와 측정방법 알아보기

5) Uimp(정격 임펄스 내전압)

정격 임펄스 내전압을 의미하는 Uimp는 뇌서지와 같은 벼락에서 순간적으로 높은 전압에 대하여 견딜 수 있는 수치를 말합니다.
위 차단기의 경우 Uimp가 8kV이기 때문에 8kV까지 견딜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6) 주파수

위 차단기의 경우 50/60Hz로써 50 또는 60Hz의 주파수에서 차단기가 정상동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7) Cat.A

Cat.A는 단시간 차단성능이 없다는 표시를 의미합니다.
Cat.B라고 적힌것도 볼 수 있는데 이는 단시간 차단성능이 있는 제품이라는 표시 입니다)

추가로, 위 차단기는 LS산전이라는 제조사에서 생산된 배선용 차단기(MCCB) 이며, 제품명은 ABS 403c라는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3. 누전차단기에서 추가되는 용어

차단기 용어 이해하기, MCCB인 배선용차단기와 달리 ELB, ELCB의 누전차단기에서 볼 수 있는 차단기 용어
차단기 용어, 누전차단기에서 볼 수 있는 용어

누전차단기에서는 AF와 AT와는 별도로 mA로 표시되어 있는 부분을 볼 수가 있습니다.
이는 바로 누전차단기가 일정 값 이상의 누설되는 전류(mA)를 감지하였을때 동작하게 되는 값인데요. 위 차단기의 경우 20A옆의 값인 30mA 이상의 누설되는 전류를 감지하였을때 차단기가 트립이 되는것이죠.

☞누전차단기와 동작원리, 배선용차단기 알아보기

☞접지와 본딩 이해하기

☞중성선이란, 접지선과 중성선 차이 알아보기

또한, 아래의 주파수값 밑에서 볼 수 있는 I△n과 I△no 그리고 t 를 볼 수 있습니다.
I△n은 정격 감도 전류로 위의 30mA와 마찬가지로 30mA를 초과하게 되는 즉시 차단기가 동작을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I△no은 정격 부동작 전류로써 15mA까지는 동작하지 않는다는것을 의미하며, t<0.03sec는 0.03초 이내에 동작하는것을 의미합니다.

Leave a Comment